오빠생각 (Thinking of Elder Brother) / 이선희

작곡가 : 박태준 (1900-1986) / 작사가 : 최순애 (1914-1998) / 창작연도 : 1925년

 

뜸북뜸북 뜸북새 논에서 울고
뻐꾹뻐꾹 뻐꾹새 숲에서 울제
우리 오빠 말 타고 서울 가시며
비단 구두 사가지고 오신다더니

기럭기럭 기러기 북에서 오고
귀뚤귀뚤 귀뚜라미 슬피 울건만
서울 가신 오빠는 소식도 없고
나뭇잎만 우수수 떨어집니다

 

오빠생각 / 조용필

 

오빠생각 / 이정숙 1930

 

오빠생각 / 하모니카 3중주

배경사진: 이영옥 (작사자의 장녀) / 하모니카 연주: 이경화 (작사자의 장남)

 

오빠 생각은 최순애 본인의 경험을 담은 노래로, 서울에 가는 오빠에게 비단 구두를 사다 달라고 부탁을 하였는데 봄이 가고 여름이 지나고 가을이 와서 나뭇잎이 떨어져도 서울 간 오빠는 소식이 없어 그 안타까운 마음을 글로 썼다고 한다. 잡지에서 이 시를 본 박태준은 그 사연이 마음에 닿아 작곡을 해서 발표를 했는데, 부를 만한 노래가 많지 않았던 시절인지라 애틋한 사연과 함께 이 노래는 곧 널리 퍼지게 되었다. 8분의 6박자의 노랫가락에 나타난 애상조의 멜로디는 당시의 어린이의 심정을 잘 표현하고 있다. 잊혀지지 않는 동요로서 오늘날에도 흘러간 노래로 애창되고 있다.

이 시를 모르는 사람이 있을까… 그러나 이 시가 12살 소녀에 의해 씌어졌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은 듯하다.

최순애. 1925년 11월, 12살 소녀 최순애는 '오빠 생각' 으로 방정환이 내던 잡지 '어린이'의 동시란에 입선자가 된다. 그 다음 해 4월, 16세 소년 이원수 역시 '고향의 봄' 으로 이 코너의 주인공이 된다. 이리하여 수원의 최순애 소녀와 마산의 이원수 소년은 서로를 발견하고 급기야 1936년 6월 부부가 된다. '오빠 생각'과 '고향의 봄'의 만남이라고 할까.

 

이 시 속의 오빠는 뜸북새, 뻐꾹새 등 여름새가 울 때 떠나서 기러기와 귀뚜라미가 우는 가을이 와도 돌아오지 않는다. 오빠의 부재는 계절의 변화를 더욱 민감하게 감지하도록 만든다. 기다리는 사람이 없다면 계절의 변화가 그토록 새삼스럽지는 않을 것이다. 오빠는 부재함으로써 오히려 옆에 있을 때보다 더욱 풍부한 존재감을 선사한다. 오빠를 기다리는 누이는 도처에서 오빠를 본다. 뜸북새, 뻐꾹새, 기러기, 귀뚜라미 소리들은 이 부재하면서 현존하는 오빠의 대체물들이다.

이 동요가 작곡되고 불리던 시기는 한국이 일제의 식민통치를 받던 시기다. 그래서 이 동요에 대한 평가 중에는, 비단 구두 사러 갔다는 오빠는 조국을 위해 동생이 떠올리는 항일 운동을 떠난 아름답고 가슴 아픈 노래라는 평가도 있다.

 

 

 

Posted by 文井
,